기적을 부르는 뇌. The Brain That Changes Itself. 노먼 도이지(Norman Doidge) 지음. 김미선 옮김. 출판사 지호. 재미있게 본 책입니다. 책 속의 용어/단어 중 모르는 것들을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책 속에 그 의미가 나타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시각적 자료들을 중심으로 인터넷 검색 결과를 정리했습니다. 책을 읽으시는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혹시 다른 재미있는 책을 읽고서 똑같은 작업을 하고픈 분들은 제목을 위의 방식으로 통일하면, 나중에 검색이 쉽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니면, 다른 방식의 제목을 추천해 주시길. ^^ * () 안은 책의 페이지를 나타냅니다. 전정핵(19) 출처 : http://www.aistudy.com/physiology/..
Future Shaper!의 미래 빚어가기 시리즈를 읽고서 http://futureshaper.tistory.com/248 들어가면서. 원하는 뭔가를 상상하고, 그것을 이루어 나가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그 성패를 떠나서 참 멋지게 보입니다. 하지만, 노력을 행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그것을 성취 못했을 때의 허망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나, 또는 원하는 뭔가를 이루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는데(위 링크 참조), 저는 거기에 뭔가 다른 요소를 추가해 보려 합니다. ...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짜고, 계획을 순조롭게 실천한다. 계획은 조금씩 현실이 되고, 결국은 목표를 달성한다. 간단하고도 분명해 보인다. 결국 "목표 달성"은 다음의 3가지로 이루어 진다. 1. 목..
Maxim Korea의 인터넷은 "The Best Thing to Happen to Men Since Women!", Maxim 원판은 좀 더 노골적으로 "Guys' Ultimate Guide : Celebrities, Gear, Hot Girls, Photos, Videos, Sex, Women, Sports,..."를 표방한다. 당직 사관실에서 당직을 설 때면, 여기저기 굴러다니는 Maxim을 집어 읽곤 했다. Hot Girls의 유혹을 누가 뿌리칠 수 있을까? 가끔 흥미로운 기사들이 눈에 띄지만, 대부분 그것의 "깊이"나 "사실성" 같은 것은 그다지 기대하진 않을 것이다. 매끈한 몸매의 여자애들이 "나는 화끈한 남자가 좋아요."라든지, "나는 의외로 소심해요."라고 말하는 인터뷰들. 그리고, 자살하..
Read&Lead블로그의 "이기주의vs이타주의"를 읽고서... 배경 지식 : http://blog.aladdin.co.kr/pop/3152107 어떤 행동이 이기적이냐, 이타적이냐는 간단하지 않다. 의도는 이기적 또는 이타적이었으나, 결과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항상 배신을 하는 전략은, 분명 이기적이라고 볼 수 있지만, 결국 협력의 이익을 못 보는 것은 자신이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이 TFT전략이고, 자신만 배신하는 전략을 쓰는 작은 사회라고 해보자. 모든 사람과 한 번씩 만나 본 이후부터는, 배신하는 전략은 가장 낮은 이익만을 얻게 될 것이다. 또, TFT전략이 상대방의 행동을 되갚아 줌으로써, 결코 두 번 손해를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기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상호 이익을..
언제였는지 기억조차 안 나지만, 에서 "과학적이란것"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 한 편 답답하기도 했지만, 한 편 재미있었고, 더 이상 의견이 안 올라오자, 다소 아쉬웠다. http://no-smok.net/nsmk/%EA%B3%BC%ED%95%99%EC%A0%81%EC%9D%B4%EB%9E%80%EA%B2%83 = 나. 내 생각엔, 과학적이란, 일상적인 말로 쓰면,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다. 여기서든, 에서든, 토론이 계속되면 기쁠 것 같다. 한계레 신문의 "과학속 사상, 사상속 과학" http://www.hani.co.kr/arti/BOOK/69522.html
* 오디오 파일에 대해 저작권 문제가 있을 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성시경이 진행하는 "푸른밤 성시경입니다."의 오프닝('08.3.29) 위약 효과. 플라시보(Placebo) 효과라는 거, 들어보셨죠? 가짜 약을 주면서 "이 약 먹으면, 안 아플겁니다." 하고 말하면, 환자들이 통증을 잊고, 증상도 호전된다는 거죠. 그런데, 이 플라시보 효과가 얼마나 강력한지, 화상환자들이 극심한 통증 때문에 잠도 자지 못할 때, 가짜 약을 주면서 진통제라고 하면, 금방 잠이 든다고 합니다. 게다가 이런 실험도 있다네요. 똑같은 가짜 약을 주면서, 한 그룹에게는 이 약이 한 알에 100원짜리라고 하고, 다른 그룹에게는 5000원짜리라고 하면, 5000원 그룹이 훨씬 더 증상이 호전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그렇게 상품에 ..
14장. 491쪽 "매슬로의 욕구 위계질서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른바 '자기완성'이다. 백만장자가 되어 모든 것을 가지게 되면, 사람들은 물질 우선주의를 접어 두고 선행을 하거나, 자신을 찾기 위해 티베트로 향하거나, 뜨거운 욕조에 누워 삶의 의미를 음미하려 할 것이다. 할리우드의 돈 많은 스타들이 채식주의자가 되거나 불교 수도원으로 향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페라리를 몰고 다니는 할리우드 스타들은 모두 B급 연예인이라고 보면 된다." 페라리 타고 다니는 자들... 한 방 먹었군... ㅋ From TED It's not the material goods we want, It's the reward we want. It's a new way of looking at luxury g..
- Total
- Today
- Yesterday
- Edward Russo
- Schoemaker
- 의사결정
- 뇌과학
- 긍정 언어
- 절차중심 프레임
- Free Dividend
- How We Decide
- 탁월한 결정의 비밀
- 이기는 결정
- 접근 프레임
- 준비 프레임
- 의미중심 프레임
- 기본 소득
- 자신있게 결정하라
- Technology is new oil
- 비교 프레임
- 앤드류 양
- 용어정리
- Decisive
- 추단법
- 회피 프레임
- 티모시 윌슨
- 모짜르트 효과
- Andrew Yang
- 절대 프레임
- 리더십
- 지금여기 프레임
- 닮고 싶은 사람
- 열린마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