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위기반 통계학에서 혁혁한 공로를 세운 프랭크 윌콘슨Frank Wilcoxon(1892-1965)는 50대가 될 때까지 한 편의 통계학 논문도 쓰지 못했다고 한다. 사실 그는 무기화학을 전공했고, 살충제와 곰팡이 방지제를 다루는 화학연구를 주로 했다고 한다. "윌콘슨은 통계학의 초기에 중요한 인물인 유덴(W.J.Youden)과 통계학 연구모임을 함께 하였으며, 피셔의 매우 영향력이 큰 저서를 가지고 공부를 하였다. 그렇지만 나중에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 일에 접하게 되자, 윌콕슨은 관찰들을 무선화하는 피셔의 방법에 만족하지 못하게 되었다. 윌콘슨은 원자료를 순위로 대치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으며, 이 방법은 다양한 검증통계치들의 분포를 꽤나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게 해주었다. 순위의 사용은 그로 하여금 쉰..
http://www.imdb.com/title/tt1802529/?ref_=nv_sr_1 Since 1975 Breast Cancer rates have gone up more than 30%.1975년 이후, “남자”와 여자의 유방암 발생율은 30% 이상 증가했다. “호르몬 요법, 노산, 피임약 등으로는 남자의 발생율 증가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7.3 million American couples have trouble conceiving or carrying to terms. A 49% increase since 1988. The biggest increase has been among women under 25 years old. 73만의 미국 부부가 임신에 문제를 겪는다. 1988년 이후 49%..
Intelligence: Knowns and unknowns.Neisser, Boodoo et al. 1996() Neisser, Ulric;Boodoo, Gwyneth;Bouchard Jr., Thomas J.;Boykin, A. Wade;Brody, Nathan;Ceci, Stephen J.;Halpern, Diane F.;Loehlin, John C.;Perloff, Robert;Sternberg, Robert J.;Urbina, SusanaAmerican Psychologist, Vol 51(2), Feb 1996, 77-101. 1994년 가을에 출판된 책 에 의해 지능 점수와 지능의 의미에 대해 논란이 촉발되었다. 문제는 과학적인 주장과 정치적인 주장이 뒤섞여 무엇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이고..
뮤지코필리아: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올리버 색스 지음장호연 옮김/김종성 감수 MUSICOPHILIA(2007) by Oliver Sacks 차례제1부 음악에 홀리다제1장 번개 맞고 갑자기 음악을 사랑하게 된 남자제2장 묘하게 친숙한 느낌:음악 발작제3장 음악 공포증:음악유발성 간질제4장 뇌 속에 울리는 음악:심상과 상상력제5장 뇌벌레, 끈질기게 들러붙는 음악, 귀에 쏙 들어오는 선율제6장 음악 환청 제2부 놀랍고도 풍부한 음악성의 세계제7장 감각과 감수성:음악성의 문제제8장 무너져가는 세상:실음악증과 화음 감각 장애제9장 코 푸는 소리가‘사’음으로 들려요:절대음감제10장 불완전한 음높이:달팽이관과 실음악증제11장 살아 있는 스테레오:귀는 왜 두 개일까제12장 2,000편의 오페라:음악 서번트제13장 청..
Working Memory and Intelligence작업기억과 지능Andrew R. A. Conway, Sarah J. Getz, Brooke Macnamara, and Pascale M. J. Engel de Abreu Chapter 20 of The Cambridge Handbook of IntelligenceRobert J. Sternberg(Editor), Scott Barry Kaufman(Editor) 작업기억용량(WMC)은 추론 능력, 유동 지능(gf), 일반 지능(g)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다. 따라서, 작업기억용량과 그것의 지능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현재 지능을 이해하고자하는 심리학자들의 최선이다. /Oberauer, Schulze, Wihelm, & Süß(2005) 작업기억(Wo..
나는 내가 낯설다(Strangers to ourselves)티모시 윌슨(Timothy D. Wilson) 1. 천재 프로이트, 바보 프로이트이 책에서 대답하고자 하는 두 가지 질문은 1.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그렇게 잘 모르는 이유는? 2.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잘 알 수 있는가?(자기 지식) 이다. 1번 질문에 대해 이 책은 주로 우리가 알고 싶어 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의식 밖에 존재하여 자각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정신적 고통 등의 이유로 의식 밖에 억눌려(억압) 있는 생각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적응 무의식은 판단과 느낌과 자극들이 억압 때문이 아니라, 효율성을 위해 자각의 바깥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2번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과도한 ..
(합리적인 인간의 비합리적인 선택 심리)의사결정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Decision Making 하영원 지음21세기북스 제한된 합리성과 인간의 의사결정인간의 행동을 최적화의 관점에서 보면 합리적이지 않은 부분이 많다. 하지만 적응성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 더 많아진다. 제한된 합리성은 계산 부하가 커짐에 따라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그에 따라 휴리스틱과 인지적 편향이 나타난다. 2. 휴리스틱과 인지적 편향불확실한 현실에서 확률을 판단해야 할 때 사람들은 대표성, 이용가능성, 정박과 조정이라는 휴리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편향이 나타난다. 대표성이란 주어진 범주와 비슷한 범주의 확률이 높을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기저 확률 무시, 결합 확률 오..
(뇌신경과학의 최전방에서 밝혀낸 결정의 메커니즘)탁월한 결정의 비밀조나 레러 지음 How We DecideJonah Lehrer 1 누가 결정을 내리는가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감정 사람들은 감정은 이성의 방해꾼이며, 이성만 있다면 항상 올바른 판단/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하지만 감정을 느낄 수 없었던 환자들은 사소한 일도 결정을 하지 못했다.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감정은 결정을 돕는다. 2 무엇이 정확한 결정을 돕는가예측의 일인자 도파민 신경세포 맥길 대학의 James Olds와 Peter Milner(1954)는 쥐의 측좌핵NAcc를 자극하자 쥐가 쾌락을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 스스로 측좌핵을 자극할 수 있었던 쥐는 쾌락만을 추구하다 갈증으로 죽었다. Shultz는 원숭이가 보상을 받을 ..
이기는 결정/J. Edward Russo, Paul J. H. Schoemaker 결정의 틀 짓기 사고의 틀, 그 엄청난 위력 사고의 틀의 창과 같아서, 현실의 일부분을 중점적으로 보게하고, 다른 부분은 볼 수 없게 한다. 그것은 쉽게 알아 챌 수 없고, 쉽게 변하지도 않는다. 특히 사람 사이의 의사 소통에서도 사고의 틀을 보지 못하면 소통이 안 될 수가 있다. 사고의 틀을 알아보려면, 암묵적인 가정이 무엇인지, 강조되는 점과 경시되는 점이 무엇인지, 사고의 틀의 기원은 무엇인지(교육, 조직 등), 사고의 경계, 잣대/기준, 그리고 어떤 비유가 자주 쓰이는 지 알아봐야 한다. 이기는 사고의 틀 창조하기 “기도하면서 담배 펴도 됩니까?” “안돼.”“고민이 있을 때마다 담배를 피는 데, 그 때 기도를 해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나를 바꾸는 프레임 청소부를 하면서도 행복할 수 있는 이유는 자신의 일에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의미중심의 프레임은 목표(이상)에 주목하고, How 대신 Why를 묻는다. 따라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있는 일에 집중한다. 장기 기부 여부는 default 값에 큰 영향을 받는다. 사람의 삶/죽음을 좌지우지하는 선택이 프레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우리의 식사량도 default 혹은 그릇의 크기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런 프레임은 너무나 쉽게 활성화 된다. Machintosh, Mechanism, Micheal, Mechanics를 읽다보면, Machinery 또한 비슷하게 읽으려 한다. 최후통첩 게임을 “커뮤니티 게임”으로 이름 ..
- Total
- Today
- Yesterday
- 지금여기 프레임
- 의미중심 프레임
- 모짜르트 효과
- 앤드류 양
- 자신있게 결정하라
- 비교 프레임
- 의사결정
- How We Decide
- 뇌과학
- 용어정리
- 회피 프레임
- 절대 프레임
- 티모시 윌슨
- 리더십
- Schoemaker
- Technology is new oil
- Free Dividend
- Decisive
- 탁월한 결정의 비밀
- 접근 프레임
- 닮고 싶은 사람
- 열린마음
- Andrew Yang
- 추단법
- Edward Russo
- 이기는 결정
- 기본 소득
- 절차중심 프레임
- 준비 프레임
- 긍정 언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