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코필리아: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올리버 색스 지음장호연 옮김/김종성 감수 MUSICOPHILIA(2007) by Oliver Sacks 차례제1부 음악에 홀리다제1장 번개 맞고 갑자기 음악을 사랑하게 된 남자제2장 묘하게 친숙한 느낌:음악 발작제3장 음악 공포증:음악유발성 간질제4장 뇌 속에 울리는 음악:심상과 상상력제5장 뇌벌레, 끈질기게 들러붙는 음악, 귀에 쏙 들어오는 선율제6장 음악 환청 제2부 놀랍고도 풍부한 음악성의 세계제7장 감각과 감수성:음악성의 문제제8장 무너져가는 세상:실음악증과 화음 감각 장애제9장 코 푸는 소리가‘사’음으로 들려요:절대음감제10장 불완전한 음높이:달팽이관과 실음악증제11장 살아 있는 스테레오:귀는 왜 두 개일까제12장 2,000편의 오페라:음악 서번트제13장 청..
나는 내가 낯설다(Strangers to ourselves)티모시 윌슨(Timothy D. Wilson) 1. 천재 프로이트, 바보 프로이트이 책에서 대답하고자 하는 두 가지 질문은 1.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그렇게 잘 모르는 이유는? 2.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잘 알 수 있는가?(자기 지식) 이다. 1번 질문에 대해 이 책은 주로 우리가 알고 싶어 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의식 밖에 존재하여 자각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정신적 고통 등의 이유로 의식 밖에 억눌려(억압) 있는 생각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적응 무의식은 판단과 느낌과 자극들이 억압 때문이 아니라, 효율성을 위해 자각의 바깥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2번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과도한 ..
(합리적인 인간의 비합리적인 선택 심리)의사결정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Decision Making 하영원 지음21세기북스 제한된 합리성과 인간의 의사결정인간의 행동을 최적화의 관점에서 보면 합리적이지 않은 부분이 많다. 하지만 적응성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 더 많아진다. 제한된 합리성은 계산 부하가 커짐에 따라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그에 따라 휴리스틱과 인지적 편향이 나타난다. 2. 휴리스틱과 인지적 편향불확실한 현실에서 확률을 판단해야 할 때 사람들은 대표성, 이용가능성, 정박과 조정이라는 휴리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편향이 나타난다. 대표성이란 주어진 범주와 비슷한 범주의 확률이 높을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기저 확률 무시, 결합 확률 오..
(뇌신경과학의 최전방에서 밝혀낸 결정의 메커니즘)탁월한 결정의 비밀조나 레러 지음 How We DecideJonah Lehrer 1 누가 결정을 내리는가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감정 사람들은 감정은 이성의 방해꾼이며, 이성만 있다면 항상 올바른 판단/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하지만 감정을 느낄 수 없었던 환자들은 사소한 일도 결정을 하지 못했다.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감정은 결정을 돕는다. 2 무엇이 정확한 결정을 돕는가예측의 일인자 도파민 신경세포 맥길 대학의 James Olds와 Peter Milner(1954)는 쥐의 측좌핵NAcc를 자극하자 쥐가 쾌락을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 스스로 측좌핵을 자극할 수 있었던 쥐는 쾌락만을 추구하다 갈증으로 죽었다. Shultz는 원숭이가 보상을 받을 ..
이기는 결정/J. Edward Russo, Paul J. H. Schoemaker 결정의 틀 짓기 사고의 틀, 그 엄청난 위력 사고의 틀의 창과 같아서, 현실의 일부분을 중점적으로 보게하고, 다른 부분은 볼 수 없게 한다. 그것은 쉽게 알아 챌 수 없고, 쉽게 변하지도 않는다. 특히 사람 사이의 의사 소통에서도 사고의 틀을 보지 못하면 소통이 안 될 수가 있다. 사고의 틀을 알아보려면, 암묵적인 가정이 무엇인지, 강조되는 점과 경시되는 점이 무엇인지, 사고의 틀의 기원은 무엇인지(교육, 조직 등), 사고의 경계, 잣대/기준, 그리고 어떤 비유가 자주 쓰이는 지 알아봐야 한다. 이기는 사고의 틀 창조하기 “기도하면서 담배 펴도 됩니까?” “안돼.”“고민이 있을 때마다 담배를 피는 데, 그 때 기도를 해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나를 바꾸는 프레임 청소부를 하면서도 행복할 수 있는 이유는 자신의 일에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의미중심의 프레임은 목표(이상)에 주목하고, How 대신 Why를 묻는다. 따라서 손쉽게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있는 일에 집중한다. 장기 기부 여부는 default 값에 큰 영향을 받는다. 사람의 삶/죽음을 좌지우지하는 선택이 프레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우리의 식사량도 default 혹은 그릇의 크기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런 프레임은 너무나 쉽게 활성화 된다. Machintosh, Mechanism, Micheal, Mechanics를 읽다보면, Machinery 또한 비슷하게 읽으려 한다. 최후통첩 게임을 “커뮤니티 게임”으로 이름 ..
DecisiveHow to make better choices in life and work/Chip Heath & Dan Heath Decisive에서는 현명한 결정을 내리는 과정process으로 WRAP을 제시한다.Widen your optionsReality-test your assumptionsAttain distancePrepare to be wrong의 앞 글자를 딴 WRAP은, 대안을 탐색하고, 대안들의 현실성을 확인하고, 대안들과 거리를 둔 후에야비로소 현명한 결정을 할 수 있으며,마지막 결정이 틀릴 가능성까지 염두를 둬야 함을 주장한다. Widen your options(대안을 탐색하라)2. Alternatives(대안들)3. Multitrack(동시 진행)4. Find someone w..
- Total
- Today
- Yesterday
- 탁월한 결정의 비밀
- 의사결정
- 용어정리
- 기본 소득
- 비교 프레임
- 추단법
- 긍정 언어
- 회피 프레임
- 열린마음
- 이기는 결정
- 절대 프레임
- Edward Russo
- 의미중심 프레임
- Decisive
- 모짜르트 효과
- 지금여기 프레임
- 앤드류 양
- 뇌과학
- 리더십
- 티모시 윌슨
- Technology is new oil
- 닮고 싶은 사람
- 준비 프레임
- 접근 프레임
- Andrew Yang
- How We Decide
- 절차중심 프레임
- 자신있게 결정하라
- Schoemaker
- Free Dividen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