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술
과학자, 또는 의료인들 중에는 침술을 "믿지" 못하는 사람이 아직도 많은 것 같다. 근데 이게 경험해 보면 바로 알 수 있는데 조금 안타까운 면도 있다. 사실 어중이 떠중이 모아서 통제/실험 집단으로 나눈 후 침을 놓고 효과를 비교하는 그런 식의 실험으로는 효과를 입증하기 힘들 것이다. 1. 존재를 부정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검은 백조를 생각해보라. 그리고 사람들이 많이 헷갈려하는데, 실험 결과 유의미하지 않았다고 "영가설을 채택하는게 아니다."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라고 한다. 2. 효과는 한 번이라고 있으면 있는 거다. 예를 들어 어떤 한 사람에게만으라도 효과가 있으면 있는 거다. 근데 그걸 어떻게 입증하냐고? A-B-A-B-A-B-... (A:통제 조건, B:실험 조건). 다시 말해 반복..
내 생각들
2018. 9. 28. 06:4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비교 프레임
- 접근 프레임
- Decisive
- 이기는 결정
- Technology is new oil
- 앤드류 양
- 기본 소득
- 모짜르트 효과
- 티모시 윌슨
- 회피 프레임
- 열린마음
- 추단법
- How We Decide
- Andrew Yang
- 뇌과학
- 긍정 언어
- 절차중심 프레임
- 닮고 싶은 사람
- 지금여기 프레임
- 절대 프레임
- 준비 프레임
- Schoemaker
- 의사결정
- 리더십
- 의미중심 프레임
- 탁월한 결정의 비밀
- 용어정리
- 자신있게 결정하라
- Free Dividend
- Edward Russo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